[발표 영상] Lexical Environment in ECMA-262 5th edition

ECMA-262 1-3은 변수 객체(Variable Object), 활성화 객체(Activation Object)를 가지고 자바스크립트 코드의 스코프 처리 매커니즘을 설명합니다. 그런데 ECMA-262 5가 등장하면서 변화가 생겼습니다. 변수 객체, 활성화 객체가 사라지고 Lexical Environment가 등장한 것이죠. 과연 무엇이 달라졌는지, Lexical Environment가 도대체 뭐하는 녀석인지 정리해봤습니다. 발표 더보기…

간단하게 HTML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확인하는 방법!

마크업 개발시 현재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툴을 소개합니다.   pestcide.io 라는 툴 인데요.   CSS상에서 레이아웃 문제가 있을때 해당 툴을 통해서 각각의 모든 요소들의 외곽선을 그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요소들마다 다른 컬러값을 주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설치형 더보기…

Ajax & CORS Overview

  Ajax의 역사   1990년대까지 웹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비지니스 로직을 처리한 후 새로운 웹 페이지를 만들어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방식이었다. 일부 데이터만 갱신하고 싶어도 페이지 전체를 받아와야하기 때문에 낭비가 많았다. 웹의 시작이 ‘문서’였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당연한 일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더보기…

[발표]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어제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및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에서 진행한 웹 접근성 세미나에서 발표를 맡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세션이라 긴장도 많이 되고 시간도 짧아서 많은 이야기를 드리지 못한 거 같아 아쉽습니다. 더 많은 내용은 블로그에서 추가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발표자료 공유드립니다.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from Eun 더보기…

HTML의 원래 기능을 유지하자.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는 1993년 ISO 표준이 되어 현재는 가장 사랑받는 웹 개발 언어입니다. 꽤 오랫동안 사용되어왔지만, 그동안 비표준 브라우저들의 시장 잠식, 브라우저 전쟁 등으로 인해 많은 오해를 받기도 한 언어입니다. HTML과 더불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던게 CSS, Cascading Style 더보기…

당신의 요소에 역할을 부여해주세요.

div태그로만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span태그로 모든 인라인 스타일을 넣어주던 시대도 있었지만, 시멘틱 웹의 중요성과 표준을 준수하는 것, 그리고 웹 접근성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대부분의 웹 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들이 태그의 목적에 맞게 태그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HTML5에서 Content Model을 대대로 더보기…

W3C 스펙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How to read W3C specs from ourmaninjapan Front-End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번쯤 W3C의 스펙을 접해봤으리라 생각합니다. W3C 스펙을 읽어야할 필요성은 어떤 개발자나 가지고 있지만, 영어에 대한 막역한 두려움과 W3C 문서들이 가지고 있는 법칙들을 이해하지 못해 읽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더보기…

괜찮은 이미지 편집툴 사용사례

마크업을 하며 누구나 한번쯤 이미지 편집 노가다를 겪어봤을 것입니다. 특히 스프라이트 이미지를 생성할 때 많이 겪습니다. 포토샵에서 채취한 이미지를 일정한 패턴의 좌표로 표현하기 위해선 많은 수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포스트에선 스프라이트 이미지를 쉽게 만든 한가지 사례와 함께 괜찮은 이미지 편집툴 두가지를 더보기…

글쓴이 MK,

[영상] Webkit Overview

Intro Rendering Engine 중 하나인 Webkit Rendering Engine에 대해 간단히 발표해보았습니다. 부가 초반에 Web Browser 부분에서 설명이 없었는데, 현재 Webkit엔진은 Safari 브라우저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Chrome도 27버전까지는 Webkit을 사용했고, 그 이후부터 Webkit을 개량한 Blink 엔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References Rendering in Webkit 더보기…

git의 요술 책갈피, Stash 기능 소개

git에는 기본적인 커밋 & 푸시 등의 기능 외에도 수많은 기능들이 있습니다. 그중 매우 유용한 요술 책갈피인 Stash에 대한 소개입니다. 사전적 의미 Stash [stӕʃ] 1. (안전한 곳에) 넣어 두다 2. 챙겨 둔 양   Situations 현업에서 코드를 열심히 개발하다 보면 이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