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 2.0 릴리즈

CSS 전처리기(Preprocessor) Less 2.0이 릴리즈됐습니다. V2 Upgrade Guide에 업그레이드된 내용이 자세히 정리돼 있습니다.
 

Vue 0.11 릴리즈

Vue 0.11이 릴리즈 됐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만들고 있기 때문에 코드 베이스가 상당히 변경됐으며 API가 크게 바뀌었고 옵션이 추가 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changes.md를 참고해주세요. 이전 버전인 V0.10.6의 문서는 legacy.vuejs.org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Vue.js를 개발한 Evan You는 Google에서 Meteor로 이직했다고 합니다.
 

Reactive MVC and the Virtual DOM

Reactive MVC and the Virtual DOM에는 리액티브 패턴이 설명돼 있습니다. 11월 2일자에서 소개해드린 Model-View-Intent and the Virtual DOM 슬라이드를 아티클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React/Flux는 리액티브한 부분도 있지만 인터랙티브한 부분도 섞여 있습니다. 이를 조금 더 리액티브하게 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MVC와의 역활 비교, 글쓴이가 주장하는 Model-View-Intent의 구성, React/Flux를 사용했을때의 다른점에 대해서 작성돼 있습니다. 아티텍처로 볼때 Flux 처럼 단 방향 데이터 흐름에 가깝기 때문에 Flux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흥미로울 아티클입니다. React/Flux에 대한 내용은 Components, React and Flux (WIP)에 잘 정리 돼 있습니다.
 

릴리즈 소식

 

블로그&아티클

  • Stream API, 브라우저에 탑재(일본어[구글번역]) : WHATWG의 Stream API에 대한 내용이 정리돼 있습니다. 연속적인 이벤트를 표현하는 Stream 흐름, Readable과 Writable의 처리 대기 중 벨런스가 깨졌을때 조정할 수 있는 Back Pressure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 React.js와 Backbone.js를 결합해 본 결과(일본어[구글번역]) :  실무에서 React와 Backbone.js를 조합해 본 경험을 이야기합니다. View 부분을 React로 구현, View 테스트 시 사용할 수 있는 TestUtils, React를 도입할 때 주의할 점 등에 대해 정리돼 있습니다.
  • An easier way of using polyfills : 자바스크립트 개발 시 필요한 polyfill을 CDN 처럼 쓸 수 있는 Polyfill.io을 소개합니다.
  • browserify를 처음으로 살펴봤다(일본어[구글번역]) : 파일간 종속 시 생기는 문제를 피할 목적으로 Browserify로 빌드하는 경우를 설명합니다. bower에서 설치한 jQuery의 의존 관계 해결, browserify-shim을 사용해 CommonJS를 대응하지 않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 AngularJS에 대한 소감(일본어[구글번역]) : AngularJS의 사용하면서 느끼고 있는 단점 및 의문점에 대해 작성돼 있습니다. $scope에 대한 착각, 복잡해지는 Provider와 DI, 일관성 없는 $scope 접근 규칙, 지나치게 강력한 expression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AngularJS: The Bad Parts도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Announcing RemoteIE: Test the latest IE on Windows, Mac OS X, iOS and Android : 프리뷰 용 IE를 OSX와 Android, iOS 등에서 VPN으로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는 RemoteIE를 공개했습니다.

 

슬라이드&동영상

  • Server-side rendering demo kit(PDF|Guthub) : SoundCloud 개발자가 React의 서버 사이드 렌더링에 대해 설명하는 강의 발표입니다.
  • Protractor for AngularJS: writing end-to-end tests has never been so fun : Protractor를 잘 설명하고 있는 슬라이드입니다. Protractor의 구조, 설치 방법, API, Page Object를 사용한 테스트 패턴, 디버깅 방법 등 폭넓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 Components, React and Flux (WIP) : React를 폭넓게 설명하는 슬라이드입니다. 코드를 jQuery나 Backbone.js 그리고 React로 구현한 경우를 비교하며 React의 특징인 재사용성, 컴포넌트 중첩, Stateful, react-router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또 개발 도구로써 hot-reload, 단방향 데이터 플로우로써 Flux 아키텍처 등 각자의 역할에 대해서도 작성돼 있습니다.

 

사이트

 

라이브러리

  • uxebu/kommando : WebDriver를 사용한 E2E 테스트 라이브러리입니다. wd.js와 leadfoot 등의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는 옵션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ibm-js/ecma402 : ECMA-402 JavaScript Internationalization API shim 라이브러리입니다.
  • substack/html-inline : HTML에서 로드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나 CSS 그리고 사진을 inline 으로 변환하는 커맨드 라인 도구입니다.
  • rtfeldman/seamless-immutable : ES5의 기능을 사용하여 Immutable한 배열이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각각 객체는 Object.freeze 된 상태가 되며, 몇가지 헬퍼 메서드가 구현돼 있습니다.
  • travishorn/npm-package-store : 마치 App Store처럼 업데이트가 필요한 npm 모듈 목록을 볼 수 있는 도구입니다.
  • Paperclip.js : 자바스크립트 템플릿 라이브러리입니다. 데이터 바인딩의 방향을 <~> 연산자를 사용해 지정할 수 있습니다.

 
JSer.info를 번역하여 공유드리고 있습니다.
JSer.info는 JavaScript Weekly, Badass JavaScript, JsMag, A Minute With Brendan, The Changelog를 참고,  자바스크립트의 주요 소식을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감사합니다.

카테고리: Research

UYEONG

사케와 힙합을 즐길 줄 아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아바타 플레이스홀더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